코로나 시대의 교회, 그 이후...
코로나 사태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 2020년 3월 중순.... 이제 드디어 끝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1988년에 예배당 없이 강남 YMCA 강당을 빌려 교회를 시작하고, 후에 규모가 커지자 잠실 정신여고에 강당을 지어주고 주일에만 예배당으로 빌려쓰는 시도를 했던 이재철 목사님의 말씀입니다. 32년 전에 직시했던 예배의 핵심가치에 대한 그의 통찰이 빛을 발하는 시점입니다.
선생님, 내가 보니 선생님은 예언자이십니다. 우리 조상들은 이 산에서 예배를 드렸는데 유대인들은 예루살렘에서 예배를 드려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여자여, 내 말을 믿어라. 이 산이든 예루살렘이든 아버지께 예배드리는 장소가 문제되지 않을 때가 오고 있다.... 아버지께 진정으로 예배하는 사람들이 영적인 진실한 예배를 드릴 때가 오는데 바로 이때이다. 아버지께서는 이렇게 예배하는 사람을 찾으신다. 하나님은 영이시다. 그래서 예배하는 사람은 영적인 진실한 예배를 드려야 하는 것이다.
(요한복음 4장 19~21, 23~24절)
- 성전은 통로일 뿐이었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성전이 하나님의 자리를 대신해 버렸다.
- 기독교 2천년 역사를 보면 로마 카톨릭(성당)을 포함해서 개신교(예배당)까지 끊임 없이 건물을 지었다.
- 끊임 없이 하나님의 집이라고 집을 세우는 인간들 vs 끊임 없이 그것을 허무신 하나님
-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하나님과 대면해서 하나님께 매이는 사람 vs 그 공간에 예속되어서 그 공간의 목사에 종속되는 사람
- 두번째 종교개혁의 기회: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성전이 됨. 세상의 삶 속에서 영이신 하나님과 영적인 동행.
- 설문조사: 응답자 1/3이 코로나 이후에도 온라인 예배 지속할 생각
- 예배당을 초월함으로 교회는 세상의 신뢰를 회복할 수도 있다.
- 교회의 모든 문제는 어떤 문제든지 그 꺼풀을 벗기고 벗기고 또 들어가 보면 실은 예배당 문제다. (건축을 위한 돈 필요, 돈을 확보하기 위해 진리의 왜곡 가능)
- 예배당을 많이 지어 복음화한 공도 많이 있지만, 예배당을 절대시 하면서 끼쳐온 후유증도 많다.
- 교회는 말씀, 봉사, 교제로 이루어지는 3 기능이 필요하다.
- 유휴 공간을 처분하고 사용할 방안, 교회의 세가지 역할에서 조화와 균형을 어떻게 이루어야 할지 창의적인 개혁이 필요
- 예배는 공간의 문제가 아니라 중심의 문제다. 예배당은 필요하지만, 그것을 절대시하고 신성시하는 잘못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 교회는 더 이상 건축물이 아니라 주님을 고백하는 사람임을 보여주자
- 내 편의를 위해서 온라인으로 예배드리는 것은 나쁜 것이지만, 내 사정이 여의치 않아 있는 처지에서 영적으로 예배드리기 위해 온라인으로 예배하는 것은 금할 일이 아니다.
- 지금 젊어 다시 목회 한다면: 최소한의 공간와 플랫폼만이 필요. 온라인 교인들의 지역별 리더 양성과 교육. 헌금하고 처분까지 소그룹끼리 자율적으로 그들이 속한 지역 사회와 이웃을 위해 먼저 사용하고, 그 중 최소한의 일정 비율을 플랫폼 운영경비로 헌금.
- 거대한 예배당의 건축과 운영을 위해 일어나는 여러가지 부작용으로 인해 교회가 세상의 신뢰를 상실했는데, 예배당을 초월함으로 인해 교회는 신뢰를 회복할 수도 있다.

'이런 것은 나누고 싶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랜시스 챈: 성경을 외우기만 하는 교회 (7) | 2022.03.02 |
---|---|
브루더호프 (Bruderhof)와 국가 (2) | 2021.12.22 |
프랜시스 챈: 예수 처럼, 초대교회 처럼 (6) | 2021.11.11 |
루게릭병과 함께 싸우는 한 가족 (4) | 2021.10.08 |
이런 교회가 되게... (3) | 2021.04.19 |
친구 (8) | 2021.02.12 |
비싼 댓가를 지불해야 하는 향기 (6) | 2020.10.31 |
우리가 이로써 사랑을 알고 (6) | 2020.10.27 |
바이러스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 (42) | 2020.03.03 |
프랜시스 챈: 왜 나는 대형교회를 떠나 다시 시작하려 하는가 (0) | 2019.10.17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루게릭병과 함께 싸우는 한 가족
루게릭병과 함께 싸우는 한 가족
2021.10.08같은 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하던 장로님 중 한분께서 7년전 선교사로 떠나시기 직전에 루게릭병 판정을 받으셨습니다. 말기가 되어 거동을 못하시게 된 2년 반 전에 캔사스시티로 이주하셨고, 2년 전 그 지역에 잠시 갔을때 오랜만에 다시 뵐 기회가 있었습니다. 올 초에는 유튜브 채널 "베데스다의 집" 을 개설하시고 눈움직임을 추적하는 특수기기를 이용해 동영상을 제작하신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GoodTV에서 지난 달에 짧은 다큐멘터리를 제작한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오늘 영상이 공개 되었네요. 루게릭병은 운동신경세포만이 선택적으로 파괴되어 온 몸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없게 되는 병입니다. 정확한 병명은 AL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근위축성측삭경화증) 인데 미국 야구선수인 루 게… -
이런 교회가 되게...
이런 교회가 되게...
2021.04.19"주님께서 주어(主語)되시고 사람은 동사(動詞)가 되는 교회이게 하소서" 두바이 한인교회 신철범 원로목사의 기도문 중에서 -
친구
친구
2021.02.12"만리길 나서는 날" (함석헌) 만리길 나서는 길 처자를 내맡기며 맘 놓고 갈 만한 사람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온세상 다 나를 버려 마음이 외로울 때에도 "저 맘이야" 하고 믿어지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탔던 배 꺼지는 시간 구명대를 서로 사양하며 "너만은 제발 살아다오" 할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불의의 사형장에서 "다 죽어도 너의 세상 빛을 위해 저만은 살려두거라" 일러줄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잊지 못할 이 세상 놓고 떠나려 할 때 "저 하나 있으니" 하며 빙긋이 웃고 눈을 감을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온 세상의 찬성보다 "아니"라고 가만히 머리 흔들 그 한 얼굴 생각에 알뜰한 유혹을 물리치게 되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친구가 몇이나 되오" 정진사는 무골호인(無骨好人)이… -
비싼 댓가를 지불해야 하는 향기
비싼 댓가를 지불해야 하는 향기
2020.10.31비싼 댓가를 지불해야 하는 향기 질문업무상 의견대립이 있었다 → 끝까지 자신의 의견을 굽히지 않고 주장했다.그러자 상대방이 화가 나서 비아냥 거렸다. → 화가 난 부분을 설명해달라고 요청하니 상대방이 자리를 박차고 나갔다.상대방에게 감정을 상하게 부분을 설명해주면 설명 혹은 사과하겠다 했다 → 상대방은 여전히 비아냥거렸다.나도 화가 났고 얼굴도 보기 싫어졌다. 그리스도의 향기가 되고 싶은 소망이 깨어진것 같아 속이 상했다. 답변그리스도의 향기로 살고 싶은 간절함이 있기에 이런 고민을 깊게 하는 것이다.향수는 비싸다. 그리스도의 향기가 되려면 비싼 값 (큰 손해)을 치뤄야 한다.비아냥 거림은 패배한 사람의 비장의 무기다. 도저히 이길 수 없는데 패배한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을때 비아냥거린다.감정이 상한 사…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