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 갇힌 인간 (Human in Cages)
우리에 갇힌 인간 (Human in Cages)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는 그의 저서 사피엔스와 호모 데우스에서
- TV, 책, 판타지에는 야생의 동물들이 가득하지만 현실에서 이 세계에 살고 있는 동물은 주로 인간과 가축들뿐이다.
- 지구상의 야생 늑대는 약 20만마리인데 개는 4억마리가 넘는다.
- 사자는 4만마리인데 집고양이는 6억 마리, 아프리카 물소는 90만마리인데 가축인 소는 15억 마리, 펭귄은 5천만 마리인데 닭은 200억 마리이다.
라고 기록하며 인간이 자연에 얼마나 큰 재앙을 초래해 왔는가를 서술합니다..
[출처: New York Times]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칩거령이 세계 곳곳에 발효되면서 야생 짐승들이 시내에 출몰하기 시작했다는 기사가 오늘자 New York Times에 실렸습니다. 영국 Wales 지방에는 들염소들 (Great Orme Kashmiri goats), 미국 San Francisco에는 늑대들 (coyote)이 대낮에 버젓이 돌아다닌다고 하네요. 칠레의 수도 Santiago에서는 표범 (puma)이 잡혔고 관광객이 없어진 태국의 시내에는 원숭이떼가 돌아다닙니다.
짐승과 인간들의 위치가 졸지에 바뀌었습니다.
[출처: Twitter]
세계 최악의 대기 오염으로 신음하던 중국과 인도에서도 파란 하늘이 보인다고 합니다. 유명 관광지의 쓰레기도 현저히 줄겠지요. 인간의 자유와 그에 따르는 책임을 겸허한 마음으로 다시 한번 생각해볼 때인 듯 합니다.
[출처: Daily Mail]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바이러스 : 감염 최소 분량 (20) | 2020.05.12 |
---|---|
뼈아픈 영어 발음 실수 (18) | 2020.04.27 |
Buster Sword 실사용 (14) | 2020.04.21 |
코로나 바이러스 전파 3D Simulation (24) | 2020.04.16 |
동심파괴 (童心破壞) (28) | 2020.04.15 |
확 찐 동물 (Rollin' Wild) (14) | 2020.03.25 |
산수로 이해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14) | 2020.03.12 |
꿈이냐 생시냐 (35) | 2020.03.08 |
이론 - 행동 = 습관 (18) | 2020.03.07 |
Kawai Piano → Nord Synthesizer (6) | 2020.01.26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코로나 바이러스 전파 3D Simulation
코로나 바이러스 전파 3D Simulation
2020.04.16코로나 바이러스 전파 3D Simulation 과학과 공학에서는 상황을 수학/물리적으로 계산해보는 일을 많이 하는데 이런 작업을 통칭해 simulation이라고 부릅니다. 원래 자동차, 항공기, 우주선 등의 설계 단계에서 기계공학의 유체역학을 고려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고 지금은 날씨, 주식 등 쓰이지 않는 분야가 거의 없을 정도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합니다. 오늘자 New York Times에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경우 비말(飛沫, droplet)이 얼마만큼의 거리까지 퍼지는지, 그 후에 미세한 aerosol (1㎛ 이하의 작은 수분)로 쪼개져 추가로 얼마만큼 퍼지는지를 3D simulation 한 내용이 기사로 실렸습니다. 새로운 결론이 도출된 것은 아니고 미국에서 "social distanci… -
동심파괴 (童心破壞)
동심파괴 (童心破壞)
2020.04.15동심파괴 (童心破壞) Kosh An (こしあん) 이라는 일본인 illustrator의 Twitter에서 퍼왔습니다. 제목은 "눈 오는 날은 역시 피자구나 ♪" (雪の日はやっぱりピザだね♪) 발상은 기발한데 아무리 그림이라도 한 사람의 죽음을 그린 것인지라 웃프네요. 일본 정서라면 피자 가게 광고로 쓰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은 듭니다. -
확 찐 동물 (Rollin' Wild)
확 찐 동물 (Rollin' Wild)
2020.03.25확 찐 동물 (Rollin' Wild) 얼마 전 코로나 바이러스 '확 찐자" 라는 글이 돌아 다녔지요. 독일에 animation으로는 세계 최고 수준인 Filmakademie Baden-Wuerttemberg 라는 영화 학교가 있습니다. 2012년 이 학교 학생인 Kyra Buschor 와 Constantin Paeplow 가 학교 프로젝트로 "만약 모든 짐승들이 밤새 동그랗게 ('확 찐 동물') 되어버린다면 , 그들의 일상 생활은 여전히 잘 돌아갈까?" 라는 질문을 던지며 동영상 클립 4개를 만들었는데 반응이 너무 뜨거워서 그 참에 회사를 만들고 같은 주제로 동영상을 만들고 있다고 합니다. 그 중 2개를 소개 합니다. 다른 동영상을 보기 원하시면 http://www.rollinwild.com/clips… -
산수로 이해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산수로 이해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2020.03.12산수로 이해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온라인 게시판이나 신문을 읽다보면 전세계적인 위협이 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정말 황당한 주장들을 가끔 보게 됩니다. 저는 의학에 무지한 사람입니다만, 아주 기초적인 산수로만 이해를 해도 그 주장이 일리가 있는지 엉터리인지는 금방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다 아는 당연한 내용이지만 그 뻔한 지식을 현재 상황에 적용해 보도록 하지요. 먼저, 코로나 바이러스가 별 것 아닌데 괜히 과장되게 호들갑을 떤다는 기사들이 한동안 있었습니다. 근거는 이번 겨울에 미국에서만도 1500만명이 독감에 걸렸고 그 중 무려 8200명이 죽었다는 사실입니다. 맞는 말일까요? 확률에서 서로 독립적인 (independent) 것은 곱하기 입니다. 어느 전염병의 위험률은 위에 그린 바와…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