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마"형" 과자
영세업체에서 만드는 과자를 "막과자"라고 부릅니다. 오랫동안 "불량식품"이라고 불리다가 요즘에는 이미지 개선이 많이 되어서 "복고풍 과자"라고도 불리네요. 김 맛나, 소라 과자, 오란다등 바삭하게 튀겨서 설탕물 입혔으니 맛이 없을 수가 없죠 😜
그 중 하나가 '봉봉 스낵'이라고 불리우는 '고구마형 과자'인데요, 며칠 전 제 작은 아이가 저랑 같이 장 보러가서 이 과자 봉지를 집어 들면서 처음 봤을 때 고구마"형(型, shape)"을 고구마"형(兄, elder brother)"으로 잘못 알았었다고 말해주더군요. 😅
미국에서 태어나 영어 쓰면서 자란 아이니 그러려니 생각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그 말을 들으니 제 절친 남동생 이야기가 떠올랐습니다. 고려대 의대를 졸업한 수재인데요, 어린 시절 2년 위인 형의 그늘에 가려 본인의 이름보다는 "OO 동생"으로 더 많이 불리다 보니 경쟁심이 무척 심했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중 3때까지 교회에서 절대 부르지 않고 입 다물고 있던 찬송가가 하나 있었는데 301장 (구 460장) <지금까지 지내온 것>입니다. 왜냐고요? 1절 마지막 가사가 "모든 일을 주 안에서 형통하게 하시네"라서 입니다.
"형통(亨通, go well, 원곡 가사는 pleasant)"인 가사를 "형 통(兄 通, through brother)"으로 아주 어린 시절 오해 했던 것이 무려 중 3때까지 지속되었던 것이지요. 돌이켜 보며 웃을 수 있는 사소한 일화지만 친구 동생뿐 아니라 우리 누구나 감정이나 선입견에 사로 잡히면 있는 사실을 그대로 보지 못하고 왜곡할 수 있기에 늘 스스로 돌아보아야 하는 것 같습니다. 심리학을 전공한 친구가 그러더군요. "같은 때 같은 장소에서 같은 일을 겪더라도 각자의 인식(perception)은 다를 수 있고, 그 인식의 차이는 사실(fact)의 차이처럼 받아들여진다"고요. 한국도 미국도 진영 논리에 갇혀 개인 간의 인식의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편향 (bias), 선입견 (prejudice), 고정관념 (stereotype) 없이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인정하고 공감할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내 생각에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윈의 사도들" (1) | 2023.02.23 |
---|---|
성경의 관점에서 보는 인류 역사 (4) : 노아의 방주 (2) | 2023.01.25 |
성경의 관점에서 보는 인류 역사 (3) : 성경과 유전공학 (6) | 2023.01.16 |
성경의 관점에서 보는 인류 역사 (2) : 과학적 시간 (9) | 2023.01.12 |
성경의 관점에서 보는 인류 역사 (1) : 성경과 과학 (10) | 2023.01.09 |
Accept(포용) vs. Affirm(긍정) (4) | 2022.02.03 |
과학자면 언론이 아니라 학술지에... (4) | 2021.12.14 |
성가대 예배의 시작은 연습부터 (4) | 2021.11.21 |
컨닝 백신 (Cheating Vaccine) (14) | 2021.06.14 |
자본주의: 멈출수 없는 자전거 바퀴 (6) | 2021.04.30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성경의 관점에서 보는 인류 역사 (2) : 과학적 시간
성경의 관점에서 보는 인류 역사 (2) : 과학적 시간
2023.01.12성경의 창세기에 기록된 내용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인류"의 나이는 그리 길지 않습니다. 창세기 1장에는 6일 동안 세상이 창조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고, 빼곡히 기록된 족보와 나이를 다 더해서 살펴보면 인류의 조상 아담은 약 BC 4천년 정도에 탄생한 것으로 추정합니다. 반면 과학계에서는 "인류"의 나이는 수백만년, "지구"의 나이는 약 45억년, "우주"의 나이는 120~140억년으로 봅니다. 과학자들이 나이를 계산할 수 있는 근거들이 이론으로 정립된게 불과 수십년 전이기 때문에 수백만~수백억년의 세월을 "측정(measure)"하는 것은 당연히 불가능한 일이고, 다수의 과학자들이 동의하는 가정(assumptions)에 의해 "추정(estimate)"을 하는 것입니다. 기독교 내에서조차 가장 논란이… -
성경의 관점에서 보는 인류 역사 (1) : 성경과 과학
성경의 관점에서 보는 인류 역사 (1) : 성경과 과학
2023.01.09학창 시절, 문과 과목을 잘 못하고 좋아하지 않아서 "역사"라는 과목과는 먼 거리를 두고 살았습니다. 대학 2학년부터 교회를 제대로 다니면서 성경을 읽기 시작했고 성경을 공부하는 과정을 통해 뒤늦게 "역사"라는 과목을 조금이나마 진지하게 대하게 되었지요. 꽤 오래 전부터 창세에서 현재까지 벌어진 큰 사건들을 아주 대략적으로나마 정리해보고 싶은 생각을 막연히 가지고만 있다가, 한번 시간을 내서 수박 겉핥기식으로 정리를 했기에 그 내용을 몇개로 나눠서 올리려고 합니다. 주 목적이 역사에 무지한 공돌이가 자습하는 것이라서 아주 빈약하고 피상적인 수준일테니 큰 기대하지 말아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제목에서 알수 있듯 "제가 이해하는" 성경의 관점에서 본 역사입니다. 앞 부분은 "창조과학 (creative scie… -
Accept(포용) vs. Affirm(긍정)
Accept(포용) vs. Affirm(긍정)
2022.02.03오늘자 중앙일보에 “화났구나 그랬구나” 이 말만 하면, 떼쓰는 아이에겐 '독' 이라는 내용의 최성애 심리학 교수의 기사가 실렸습니다. 이 기사 서두의 예를 보면 5살 아들이 밥 대신 아이스크림만 먹겠다고 떼를 쓴다. 엄마는 “안 돼, 밥부터 먹어야해. 벌써 두 개나 먹어서 배탈 나”라고 말했지만, 아이는 소리지르다가, 울다가, 아예 바닥에 드러눕는다. ⇒ 아이가 있는 집이라면 언제든 한번은 겪는 상황이다. 대체로 아이스크림을 주거나, 모른 체하거나, 큰소리로 야단치는 등의 상황으로 마무리된다. 감정코칭 전문가 최성애 행복연구소 소장은 “셋 다 좋은 방법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요점 5단계는 아이의 감정 알아차리기 감정적 순간을 좋은 기회로 삼기(피하지말기)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하기 감정… -
과학자면 언론이 아니라 학술지에...
과학자면 언론이 아니라 학술지에...
2021.12.14이왕재 교수님이라고 코로나 (COVID-19) 백신 관련해서 부지런히 백신이 효과가 없다는 주장을 펼치시는 분이 계십니다. 이 분 주장을 처음 본 것이 2021년 1월 15일 자 기사였습니다. 요즘 한국의 백신 접종률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돌파 감염이 증가하고, 확진자 수가 신기록을 연일 갱신하니 이 분 인터뷰 기사가 더 자주 눈에 띄네요. 서울대 명예 교수시고 무려 전 대한면역학회 회장을 역임하셨으니, 스펙만 보면 경청을 해야 옳은데, 주장하시는 바가 보고되는 임상 연구들과는 너무 다른게 많아서 참 거시기(?) 합니다. mRNA를 이용한 새로운 백신 기술을 제대로 이해하고 계신지 의구심도 들고요. 그리고 결론은 늘 본인이 오랜 세월동안 주장해 오셨던 비타민 C!!! 면역력 높이는 것이 답이라는데 누가 그…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